영화학
[영화의 이해 CH 3. 움직임] 3-3. 움직임의 기계적 조작
3-3. 움직임의 기계적 조작 우리가 영화에서 보는 움직임은 일종의 착시이다. 현대의 카메라는 움직이는 물체를 초당 24 프레임으로 녹화하는데, 이는 1초에 24장의 스틸 사진을 찍는 것과 같다. 따라서 필름을 일정한 속도로 영사하면 관객은 마치 정말 움직이는 대상을 보고 있는 것 같은 착시현상인 ‘잔상(persistence of vision)’을 보게 된다. 영화감독은 카메라나 영사기의 속도 조절 장치를 조절해 움직임과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 이 같은 기계적인 조작법에는 대표적으로 ‘애니메이션(animation)’, ‘패스트 모션(fast motion)’, ‘슬로 모션(slow motion)’, ‘역동작(reverse motion)’, ‘정지화면(freeze frame)’의 5가지가 있으며, 대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