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4. 13.

    by. pearls of wisdom

    반응형

    2-3. 프레임(3)

     

    * 미장센 및 프레임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이전 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영화의 이해 CH 2. 미장센] 2-1. 프레임(1)

    [영화의 이해 CH 2. 미장센] 2-2. 프레임(2)

     

     프레임의 어느 부분에 어떤 인물을 배치하는지는 관객이 현재 장면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파악하도록 하는 데 아주 중요하다. 바딤 피얼먼(Vadim Perelman) 감독의 영화 모래와 안개의 집(House of Sand and Fog)’을 보면 경찰 역을 맡은 론 엘다드(Ron Eldard)는 시민 역의 벤 킹슬리(Ben Kingsley)에게 몰아붙이며 말을 하고, 그의 아들 역인 조나단 아도트(Jonathan Andout)는 이 둘을 지켜보는 장면이 등장한다. 뻐기는 태도의 경찰은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마을의 이주민인 남자를 벽으로 밀어붙이며 말을 하고, 그 나이 든 이주민의 아들은 겁에 질린 채 이 둘을 지켜보고 있다. 경찰은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지만 노인은 영상의 구석으로 밀리고 있고 아들 역시 하찮은 존재처럼 흐릿하게 보여준다. 이와 같은 쇼트는 미장센이 어떻게 영상에서 중요한 의미를 만들어가는지 잘 보여주는 예시라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연극에서의 미장센은 사람 몸집에 비례해 결정되는 것과 달리 영화에서의 미장센은 특수효과 덕분에 우주적 스케일로 확대되거나 미시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영화 리틀 인디언(The Indian in the Cupboard)’에서 프랭크 오즈(Frank Oz) 감독 역시 테니스화 위에 서 있는 3인치 정도 키의 인물을 연출하며, 공간의 스케일이 사람이 아닌 테니스화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형식주의 감독이었던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은 늘 자신이 원하는 효과를 정확히 계산해 연출했으며, 세트가 아닌 스크린의 지형을 따른다고 이야기했다. 따라서 그는 항상 촬영 기사에게 촬영 구도를 직접 그려주었고 언제나 그가 채워야 할 스크린이라는 공간에 대해서만 생각했다. 또 조작되지 않은 현실 세계에는 무의미와 부조리가 가득하다고 생각했다. 영화 오명(Notorious)’ , 여자 주인공 잉그리드 버그만(Ingrid Bergman)이 함정에 빠진 장면을 보면 미장센은 극적 맥락에 요구되는 품격 있는 외양을 유지하면서도 여자 주인공이 위기에 맞닥뜨린 느낌을 굉장히 잘 표현했다. 이러한 경우 심리적 긴장감은 등장인물의 공간 배치와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대사는 철저히 중립을 유지한다.

     

     아벨 강스(Abel Gance) 감독의 영화 나폴레옹(Napoleon)’은 무성영화 시절에 감행한 와이드 스크린 실험 중 가장 유명하게 알려진 사례이다. 이탈리아를 향해 가는 프랑스 군대의 행진 장면 등, 3개의 프레임이 이어진 모습의 시퀀스들은 아벨 강스 감독이 폴리비전(Polyvision)’이라 칭했던 방식으로 촬영된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프레임의 비율보다 3배 더 넓었기 때문에, 160도의 전경을 촬영하기 위해 3대의 카메라가 보조를 맞춰 움직여야 했다.

     

     와이드 스크린은 댄스나 쿵후 격투 시퀀스 등 정교한 안무 동작이 필요한 장면에서 더욱더 효과적이다. 루이스 리터리어(Louis Letterrier) 감독의 액션 영화 더 독(Unleashed)’에서, 수많은 액션 장면들은 컨트롤하기 어려운 사건을 보여주고 산산조각이 나는 느낌을 나타내기 위해 대부분 순간 전환으로 편집했다. 액션이 프레임에 맞춰 제한적으로 조정된 채 느슨하고 느리게 촬영되면, 주인공은 적들을 파리 쫓듯 가볍게 치는 인상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와이드 스크린은 미묘한 심리적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토드 필드(Todd Field) 감독의 영화 리틀 칠드런(Little Children)’에는 아이를 집 근처 공원에서 놀게 하는 고독하고 권태로운 가정주부 케이트 윈슬렛(Kate Winslet)이 등장한다. 외롭고 소심한 주인공은 중앙이 아닌 모서리에 배치된 모습이며, 초점을 벗어난 다른 아이의 엄마들과도 떨어져 있다. 이렇게 프레임 외곽에 분리된 느낌으로 들어가 있는 주인공의 모습은 현실 세계와 그녀의 사적인 세계 간에 벌어져 있는 큰 심리적 간극을 나타낸다.

     

     와이드 스크린은 촬영 현장의 광활함을 보여주는 데에도 매우 적합하다. 일례로 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 감독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에 등장하는 우주인은 끝없는 우주 안으로 빨려 들어갈 듯 위태로운 모습으로 연출되는데, 만약 무한한 우주 공간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화면의 비율을 일반적인 TV의 가로세로 비율로 나타냈다면 그 공간감은 크게 퇴색되어 버렸을 것이다.

     

     이러한 와이드 스크린의 가로세로 비는 비디오 양식으로 바꿀 때 종종 문제가 생긴다. 모든 해결 방식에는 각각의 단점이 존재하지만 가장 세련되지 못한 해결법은 쇼트의 중앙에만 집중하며 단순하게 영상의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방식이다. 또 다른 해결 방식인 팬 앤 스캔(pan and scan)’은 각각의 인물이 말을 할 때, TV 카메라가 패닝을 하며 해당 장면을 스캔하는 방식이다. 이는 관객에게 거친 바다 위에서 진행하는 테니스 경기를 지켜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인물들을 따로따로 커트해 장면을 재편집하는 방법 역시 팬 앤 스캔과 비슷한 방식인데, 이 또한 인물들을 각각의 분리 독립된 공간으로 격리하는 식이 된다. 따라서 관객에게 섬세하게 상호작용하는 두 명 이상의 인물을 동시에 보여줘야 하는 경우, 이러한 편집은 적절치 않다. 마지막 해결 방법은 우체통에 넣기(letter-boxing)’, TV 스크린의 최상단과 최하단 부분을 지우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스크린의 절반 가까운 면적을 공백으로 만들어 스크린을 더욱 작아 보이도록 만들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이를 선호하지 않는다.

     

     ‘빅 3 법칙(The Rule of Three)’은 거의 모든 시각 예술 장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디자인 개념이다. 전통적으로 3인이 등장하는 장면은 특이성이나 고유성이 강조되는 1인 장면이나 같은 비중의 한 쌍을 강조하는 2인 장면보다 관객에게 시각적으로 훨씬 더 큰 흥미를 유발한다. 일례로 빌 콘돈(Bill Condon) 감독의 뮤지컬 영화 드림걸즈(Dreamgirls)’는 모타운 사운드(Motown) 슈프림스(Superemes)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는데, 감독은 트리오의 공연 장면에서 비욘세 놀즈(Beyonce Knowles)를 중앙에 배치해 그녀가 그룹의 중심인물로 부각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리더 제니퍼 허드슨(Jennifer Hudson)이 트리오 중 가장 음악적 재능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결국 더 날씬하고 매력적인 비욘세 놀즈(Beyonce Knowles)에 밀리는 모습을 극화한 것이다.

     

     대칭적인 디자인은 조화와 안정성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Erich von Stroheim) 감독의 영화 탐욕 Greed’에는 대칭적 구도가 자주 등장하는데, 한 선에서 만나는 두 갈래의 벽돌 벽, 두 개의 창문, 각각의 창문 밖으로 보이는 두 명의 인물 등 무게 중심이 철저히 균형을 이루고 많은 시각적 요소들 역시 짝을 이뤄 깔끔히 병치되는 모습이다.

     

    반응형